知/job지식 25

총인처리시설

1. 총인처리시설 뜻총인처리시설이란 하수 중에 포함된 총인을 제거하는 시설입니다.여기서 총인(TP)은 수중에 존재하는 모든 인을 뜻하며, 이는 대부분 하천이나 호수에 부영양화를 발생시키는 원인입니다.**부영양화 : 물속에 영양물질(질소,인)의 과도한 유입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수질이 악화되는 현상이다. 대표적으로 녹조,적조가 있음2. 총인처리시설이 필요한 이유4대강 사업 이후 수질개선이 필요해지면서 하수처리장 수질기준이 강화되었습니다. 대부분 이 시설은 공정의 후단에 위치하며, 거의 다 처리된 처리수의 총인을 좀 더 낮은 농도로 내보내기 위해 존재합니다.3. 총인처리시설 처리방법순서를 간단히 표현하자면,[ 착수정->급속교반->완속교반->플럭(floc)처리->소독처리시설로 이동 ]1)..

知/job지식 2025.03.27

[환경플랜트] MLSS

1.MLSS 란?MLSSS(Mix Liquor Suspended Solids)는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고형물 농도를 뜻한다.MLSS는 생물학적 수처리 공정에서 활성 슬러지 공정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하수처리장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단위는 일반적으로 mg/L 로 나타내며, 측정된 농도를 바탕으로 인발량(SAS), 반송량(RAS) 등을 조절한다.[참고]통상적으로 SS농도는 분리기, 탈수기의 처리능력을 평가하는데 쓰이고, MLSS는 생물 처리에 있어서 폭기조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2.MLSS를 측정해야하는 이유유기물은 미생물의 먹이인데, 유기물의 양에 따라 몇 마리의 미생물이 있어야 최고의 효율이 나오는지 생각을 해야한다.(F/M비: 유기물과 미생물의 비율)그래서 생물반응조 내 미생물 ..

知/job지식 2024.12.13

[Autocad] 글씨스타일 합치는 방법

안녕하세요. 캐드로 도면을 작성할 때,이곳저곳에서 내용을 따서 넣다 보면글씨 스타일이 뒤죽박죽 될 때가 많습니다. 문자레이어를 한 번에 긁어서 바꾸는데도 한계가 있고요. 그럴 때 손쉽게 바꾸는 방법을 하나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바로 " MRT "입니다.  1. 우선 문자스타일 [ST]를 적어줍니다.(현재 등록되어 있는 모든 문자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함)  => 현재 제 도면에는 굴림, 궁서, 글꼴 1, 나눔고딕 등이 있습니다.  2. 이제 저는 저기서 나눔고딕만 남기고 다 지우고 싶기 때문에,[MTS]라는 명령어를 적어줍니다.  3.  아래와 같은 창에서 확인할 것은 2가지입니다. 1) 어떤 문자스타일을 바꾸고 싶은지 선택 2) 어떤 스타일로 바꾸고 싶은지 선택여기서 안 쓰는 문자스타일을 지우고 싶으시다면 ..

知/job지식 2024.11.30

[Autocad] 리습(LISP) 바로 적용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캐드를 이용하다 보면 생각보다 기본 명령어 이외에리습(LISP)의 필요성을 많이 느낍니다. 그래서 리습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 싶어 포스팅을 해봅니다. 0. 우선 저는 아래의 리습을 등록해 주겠습니다.--> 해당 파일은 블록 내 축척을 바꿀 수 있는 리습입니다. 1. 먼저 명령어창에 [ AP ]를 적어줍니다.  2.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뜨게 됩니다.이때, 바로 리습을 적용하고 싶다면,창 오른쪽 하단에 [ 목차 ]를 눌러줍니다.  3. 그러면 [시작하기 세트]라는 창이 뜨게 되는데 아래 추가를 눌러서 해당파일을 업로드해 주면 됩니다.(저는 확인해 본다고 미리 등록해 놨습니다..!)  4. 추가 한 뒤 닫기를 누르면, 처음에 알 수 없는 명령이라고 뜨던 게,명령어 인식이 되는 것을..

知/job지식 2024.09.09

[Autocad] 문자정렬-ART

안녕하세요. 저는 실무 오토캐드 명령어에 대해 종종 쓰고 있는데요, 오늘은 ART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RT 는 캐드에서 문자정렬을 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간단한 설명 후 예시를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위와 같이 칸에 글씨를 넣어줍니다. 그러곤 ART 를 명령어창에 넣으면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위에서부터 주로 사용되는 기능을 하나씩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정렬 방식 (수평 / 수직 정렬)1) 수평정렬 : 수평방향으로만 정렬 (좌우로 문자 이동) -> 그래서 문자가 세로로 있을 때 수평정렬 사용 2) 수직정렬 : 높이 방향으로만 정렬 (위아래로 문자 이동) -> 그래서 문자가 가로로 있을 때 수직정렬 사용 2. 정렬 설정위와 같이 텍스트라는 글씨가 있고 총 9곳을 선택할 수 있게..

知/job지식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