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총인처리시설 뜻
총인처리시설이란 하수 중에 포함된 총인을 제거하는 시설입니다.
여기서 총인(TP)은 수중에 존재하는 모든 인을 뜻하며, 이는 대부분 하천이나 호수에 부영양화를 발생시키는 원인입니다.
**부영양화 : 물속에 영양물질(질소,인)의 과도한 유입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수질이 악화되는 현상이다. 대표적으로 녹조,적조가 있음
2. 총인처리시설이 필요한 이유
4대강 사업 이후 수질개선이 필요해지면서 하수처리장 수질기준이 강화되었습니다. 대부분 이 시설은 공정의 후단에 위치하며, 거의 다 처리된 처리수의 총인을 좀 더 낮은 농도로 내보내기 위해 존재합니다.
3. 총인처리시설 처리방법
순서를 간단히 표현하자면,
[ 착수정->급속교반->완속교반->플럭(floc)처리->소독처리시설로 이동 ]
1) 착수정 : 처리수가 유입되면, 여기에 PAC같은 응집제를 주입
2) 급속교반 : 처리수와 응집제가 골고루 섞이게 해주는 공정
->필요에 따라 폴리머 같은 응집보조제 투여
3) 완속교반 : 처리수와 응집제의 반응시켜 플럭(floc) 형성
4) 플럭(floc)처리 : 생성된 플럭(floc)을 침전시키거나 부상시켜 처리
이렇게 처리된 처리수는 소독설비를 거쳐 방류된다.
수질에 큰 기여를 하는 총인처리시설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았습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글을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知 > job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플랜트] MLSS (2) | 2024.12.13 |
---|---|
[Autocad] 글씨스타일 합치는 방법 (2) | 2024.11.30 |
[Autocad] 리습(LISP) 바로 적용하는 방법 (0) | 2024.09.09 |
[Autocad] 문자정렬-ART (0) | 2024.07.30 |
[Autocad] Xclip 사용하는방법 (1)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