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job지식

[환경플랜트] MLSS

콰트로로켓단 로사 2024. 12. 13. 08:00
반응형

1.MLSS 란?
MLSSS(Mix Liquor Suspended Solids)는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고형물 농도를 뜻한다.
MLSS는 생물학적 수처리 공정에서 활성 슬러지 공정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하수처리장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단위는 일반적으로 mg/L 로 나타내며, 측정된 농도를 바탕으로 인발량(SAS), 반송량(RAS) 등을 조절한다.
[참고]
통상적으로 SS농도는 분리기, 탈수기의 처리능력을 평가하는데 쓰이고, MLSS는 생물 처리에 있어서 폭기조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2.MLSS를 측정해야하는 이유
유기물은 미생물의 먹이인데, 유기물의 양에 따라 몇 마리의 미생물이 있어야 최고의 효율이 나오는지 생각을 해야한다.(F/M비: 유기물과 미생물의 비율)
그래서 생물반응조 내 미생물 농도인 MLSS를 확인하는게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MLSS의 농도는 2,000~4,000mg/L인데, 이는 현장과 계절에 따라 다르게 운영이 되어야한다.
그렇다면 미생물양이 무조건 많아야 좋을까? 아니다. 미생물이 너무 많으면 먹이가 부족하여 스스로 산화하는 현상(자산화)이 일어나 미생물이 사멸하게된다.
 
3.MLSS의 농도
1) 높을 경우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데 산소를 소비하는데, MLSS가 높으면 DO(용존산소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이는 미생물 활동에 제약을 주면서 미생물의 처리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DO가 감소하면 슬러지팽화현상(Sludge bulking)이 발생하여 침전지에서 슬러지를 제대로 처리하기 힘들어진다.
2) 낮을 경우
유기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처리수가 불량해진다.TN(총질소), TP(총인), BOD수치가 상승하고, 해당 처리수 수질을 높이기 위해 약품사용량이 증가하게 된다.(운영비 증가)
[용어설명]
*슬러지팽화현상(Sludge bulking)
:플록이 침전지에서 잘 침전되지 않아 침전지 유출수에 포함되어 유출되는 현상
*BOD
:물속의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고 안정화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으로, 유기물에 의한 오염정도
 
4. MLSS 조절하는 방법
이론상 DO를 높여주는 방법이 있지만, 굳이 전력을 많이 사용해 DO를 과하게 유지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대부분 처리장에서 인발량(SAS), 반송량(RAS)을 조절해 MLSS농도를 조정한다. 여기서 인발량을 늘리면 MLSS농도가 감소하고, 반송량을 늘리면 MLSS농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인발량을 조절하여 MLSS의 농도를 조절하는 곳이 많다.
[용어설명]
* SAS(Surplus Activated Sludge)
SAS는 최종적으로 축적된 초과슬러지를 의미한다. 흔히들 잉여슬러지라고 많이 지칭하는데, 이는 결국 버려야하는 슬러지이다. SAS는 F/M비를 맞추기 위해 처리공정에서 제거된다.
* RAS(Returned Activated Sludge)
RAS는 흔히 반송슬러지라고 지칭이 되며, 폭기공정에서 씨드 역할을 한다. 즉, 새로 들어오는 유입수에는 미생물이 많이 없으니까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반송시켜 처리공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환경쪽에 대해 공부하다보니
낯선 용어들이 많아 이에 대해 하나씩 정리해보고 싶어 정리해봤습니다.
해당 글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오늘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로사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 > job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인처리시설  (0) 2025.03.27
[Autocad] 글씨스타일 합치는 방법  (2) 2024.11.30
[Autocad] 리습(LISP) 바로 적용하는 방법  (0) 2024.09.09
[Autocad] 문자정렬-ART  (0) 2024.07.30
[Autocad] Xclip 사용하는방법  (1) 2024.07.17